본문 바로가기
생활팁

2022년 4대보험 요율

by 돈벌부자 2021. 12. 5.
반응형

2022년이 되면서 새롭게 연봉협상을 하거나 진급, 호봉수가 차게 되면서 급여에 변동이 생기게 됩니다. 4대 보험 요율은 우리 급여의 실수령액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 번쯤은 알아두고 넘어가시는 것이 좋은데요.

 

2022년-4대보험-요율
2022년 4대보험 요율

 

물론, 회사의 급여담당자가 알아서 처리해주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냥 들어오는 월급만 잘 받아도 되기는 하지만 궁금해하시거나 혹은 자신의 급여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2022년 4대 보험 요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공무원이나 공기업과 같은 호봉 제분들의 경우 4대 보험 요율로 인해 전년대비 동일한 혹은 더 낮은 실수령액을 체감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다고 하니 관련직 종일수록 한 번쯤은 짚고 넘어가 보시기 바랍니다.

 

2022년 4대 보험 요율

우리가 직장생활을 하면서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4대 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속해있습니다. 산재보험의 경우 사업자에서 100% 부담하는 부분이기에 근로자가 신경 쓸 것은 딱히 없지만 그 외에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의 경우 사업자와 근로자가 각각 나눠서 부담하게 됩니다.

 

국민연금
국민연금요율 2021 2022
보험요율
(사업자 + 근로자)
9% 9%
사업자 부담율 4.5% 4.5%
근로자 부담율 4.5% 4.5%

국민연금 항목은 만 18세 이상이 되면 국내 거주 국민에 한해서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10년 이상을 꾸준하게 납세해야 정년이 지나고 만 66세 이상이 되면 수령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요율은 2021년과 변동사항이 없이 직장 가입자의 경우 4.5%를 직장이 없는 지역가입자의 경우 9%를 납입하게 되어있는데요.

 

직장가입자의 경우 사업자가 나머지 4.5%를 내주기 때문에 나머지만 납입하면 됩니다. 그 외 지역가입자에 해당하는 직종으로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주부 등이 있는데요.

 

월 소득금액이 30만 원 미만이라면 30만 원을 기준으로, 월 소득 금액 486만 원 이상 시 486만 원을 기준으로 월 소득액을 책정하시면 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요율 2021 2022
보험요율
(사업자+근로자)
6.86% 6.99%
사업자 부담율 3.43% 3.495%
근로자 부담율 3.43% 3.495%

건강보험은 근로자의 건강과 관련하여 질병, 사망, 상해 등에 대한 지출 또는 소득 감소에 대한 보상을 이유로 도입된 보험제도로 2022년에는 건강보험 요율이 총 1.89%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지난 통계를 살펴보더라도 건강보험 요율은 매년 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은 월 보험료의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는데요. 직장가입자 경우 월 보험료의 상한액은 7,047,900원이고 하한액은 19,140원입니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혼자서 6.86%를 부담해야 하는 만큼 월 상한액과 하한액의 폭이 더 좁은데요. 월 보험료 상한액은 3,523,950원, 하한액은 14,380원입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실업급여)요율 2021 2022
보험요율
(사업자+근로자)
0.8% 0.9%
사업자 부담율 0.4% 0.45%
근로자 부담율 0.4% 0.45%

고용보험은 직장을 다니는 분들의 실업 시 지급되는 실업급여, 직업훈련 과정을 장려하기 위한 장려금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보험인데요. 4대 보험 요율 중에서는 2022년에 가장 많은 증감률인 12.5%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업급여의 경우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씩 부담을 하고,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의 경우 사업자만 부담하는 형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산재보험의 경우 사업자가 모두 부담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운영 업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별도로 다루지는 않았는데요. 대략적으로 0.7~18.6%까지의 범위 내에서 부담한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 및 지역가입자 분들은 사실 4대 보험이 정확히 얼마의 요율을 갖는지, 내 월급에서 몇% 정도가 나가는지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딱히 신경 쓰지 않은 부분이기도 한데요. 그래도 자신의 실 급여액을 직접 산정하고 알고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차이는 분명하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로게인 폼 가격 및 저렴한 구매 방법

2022년 일자리 안정자금 최저시급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엄청 쉬워요

보건증 인터넷 발급 간단합니다

플레이스토어 검색기록 삭제

카카오톡 생일 비공개 공개 설정 방법

 

반응형

댓글